경남도 “복지 사각지대 아웃”…희망지원금·동행론 도입

입력 2024-09-26 17:06 수정 2024-09-26 17:27
‘희망지원금’과 ‘경남동행론’ 제도 관련 추진 방향과 계획을 설명하는 기자 브리핑이 경남도청에서 열리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생계 위기를 겪는 도민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희망지원금’과 ‘경남동행론’ 제도를 도입한다고 26일 밝혔다.

경남도에 따르면 최근 실직, 폐업 등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생계 위기에 처한 도민들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법적·제도적 한계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도는 긴급 구제금 지원과 소액 생계비 융자 지원책을 마련했다.

희망지원금은 일시적인 소득 감소나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도민을 지원하는 제도다. 지원 금액은 2인 가구 기준 월 117만원의 생계비를 포함해 주거비 29만원, 의료비 최대 300만원, 장제비 80만원 등이 제공된다. 도는 올해 말까지 제도를 마련해 내년 초 시행할 계획이며, 연간 2700가구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동행론은 저신용자 등 제1금융권 이용이 어려운 도민을 대상으로 최대 150만원의 긴급 생계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연 7~9% 금리로 대출되며, 신청 후 48시간 이내 신속히 지원된다. 성실 상환자에게는 중복 신청이 가능하도록 인센티브가 부여되며, 신용회복 기회를 통해 경제적 재기를 지원한다. 이 제도는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연간 약 2만명의 도민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도는 연체 등으로 인해 은행권 이용이 어려운 도민에게 서민금융진흥원의 긴급 소액대출을 지원하고, 이자 일부를 경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1만 8000여명의 도민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번 긴급 생계 지원 제도는 실직, 폐업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민선 8기 후반기에도 도민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