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올해 취약계층의 자활·자립 지원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 마련과 자활 기관 숙원과제인 도 자활기금 재설치 등 저소득층 자립 지원을 했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먼저 자활근로 사업에 지난해에 비해 70억원을 증액 편성해 자활근로 참여자 5117명이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단 196곳, 자활기업 58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자 7589명에게 국·도비 보조금 등 172억원을 투입해 희망저축계좌 등 자활에 필요한 자산 형성을 지원, 이는 지난해에 비해 1015명이 증가했다.
올해부터 시행된 ‘경남도 자활사업 지원 조례’에 따라 14개 중점 추진 과제를 담은 경남도 자활지원계획을 수립해 취약계층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자활과 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을 하고 있다.
‘근로 빈곤층의 일을 통한 적극적 자립과 성공’을 목표로 경남형 자활사업 8개, 자활근로 참여자 탈수급 지원 3개, 자활생산품 판로 개척 3개 등 14개 사업에 국비를 포함한 868억원이 투입된다.
중장기 경남형 자활사업 추진에 필요한 도 자활기금 조성을 위해 올해 초부터 관련기관 의견 수렴, 재원 마련을 위한 복지부 제도 개선 건의 등을 진행해 왔다.
그 결과 ‘경남도 자활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가 지난 11일 도의회에서 통과돼 시행을 앞두고 있고 내년 예산에 1차 연도 적립금을 편성할 예정이다.
광역·지역자활센터 11곳의 자활사업 운영과 보조금 지출 실태를 분석해 유사·중복 사업은 통폐합하는 등 사업을 재구조화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한편 도의 자활사업은 저소득층 도민들이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자활에 성공하는 사례로 이어져 거제의 A씨는 차상위계층 선정 후 영농, 카페 사업단 등을 거쳐 본인 적성에 맞는 편의점 사업단에 참여해 창업자금 1억원을 지원받아 자립에 성공했다.
양산의 B씨는 사업 실패로 신용불량자가 됐으나 행정복지센터의 복지도우미로 근무하며 사이버대학에 진학,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등을 통해 사회복지사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
신종우 경남도 복지여성국장은 “어려운 도민들의 자활 자립의 꿈을 위해 도에서는 자활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고 경남형 특화사업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