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진입 대구, 통합돌봄추진단 구성

입력 2024-09-23 13:36 수정 2024-09-23 13:48
국민DB

대구시가 초고령사회에 맞는 복지체계 구축을 위해 나선다. 시·구·군, 민간이 모두 참여하는 복지망을 형성해 돌봄지원 사각지대를 없앨 방침이다.

시는 노쇠,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거주하는 곳에서 의료, 요양 등 돌봄서비스를 통합 지원받을 수 있는 돌봄지원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지난 3월 제정된 돌봄통합지원법(2026년 3월 시행)에 따라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보건의료, 건강관리, 장기요양, 일상생활돌봄, 주거 등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직접 또는 기관 연계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시는 돌봄통합지원법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구시 통합돌봄추진단(TF)’을 구성했다. 추진단은 보건복지국 산하 5개과 11개팀으로 구성됐다.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운영, 돌봄 수요조사, 신규서비스 개발, 조례제정, 전담조직설치 등 통합돌봄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는 각 구·군에도 10월 중 통합돌봄추진단을 설치하도록 독려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11월에는 시와 구·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열고 통합지원서비스 시행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조례제정, 돌봄 수요조사, 신규서비스 개발 등을 통해 대구형 돌봄 통합지원계획을 마련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민·관이 참여하는 통합지원협의체 구성, 사업 전담조직 설치 등을 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6년 돌봄지원 시스템을 가동 예정이다.

시는 현재 수성구와 달서구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내년에는 다른 구·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전문가 토론회 개최, 통합돌봄 우수지자체 견학도 계획하고 있다.

정의관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대구도 지난 4월부터 초고령사회로 진입해 지역사회 돌봄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며 “기초단체들과 긴밀히 협력해 통합돌봄 지원체계를 제대로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