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이 軍 비밀 ‘암구호’ 사채업자 손에 넘겨?…군·검·경 수사

입력 2024-09-22 15:58 수정 2024-09-22 16:53
전북경찰청 청사. 뉴시스.

한 군부대에서 군인들이 3급 비밀인 암구호(아군과 적군 식별을 위해 정해 놓은 말)를 사채업자에 유출한 정황이 포착돼 수사 기관이 수사에 나섰다.

22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전북경찰청과 전주지검, 군 사정당국 등은 군사기밀 보호법 위반 혐의를 받는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충청도의 모 부대에 근무하는 일부 군인이 민간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리면서 담보로 암구호를 알려줬다는 것이 이 사건의 주요 혐의다.

군인들은 사채업자들과 신뢰를 쌓기 위해 동산이나 부동산과 같은 담보 대신 암구호를 공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때 채무를 상환하지 않으면 돈을 빌려 간 군인들의 지위도 위태로워지므로 사채업자들도 이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어느 쪽이 암구호 공유를 먼저 제안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사건은 올해 봄 군 정보수사기관인 국군 방첩사령부가 처음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암구호를 유출한 군인은 병역의무를 수행하는 사병 신분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사채업자들이 군인들에게 얻은 암구호를 이용해 군부대에 출입한 정황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군과 검·경은 사채업자들이 암구호를 입수한 동기가 미심쩍다고 보고 민간인의 군부대 출입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보안업무훈령에 따라 3급 비밀로 규정된 암구호는 단어 형식으로 매일 변경된다. 그러나 전화로도 전파할 수 없다.

이번 수사는 사건을 인지하고 군인들에 대한 조사를 담당한 군과 대부업자 등 민간인에 대한 수사를 맡은 검·경이 함께 진행했다.

이들 기관은 여러 차례 압수수색을 통해 증거물을 확보하고 가담자 신병도 확보했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 5월부터 국군 방첩사령부와 공조해 수사를 진행했다”며 “정확한 것은 수사가 진행중임으로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