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남부지방과 동해안에 21일 밤까지 최대 150㎜의 비가 예보되면서 비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상청은 21일 33호 열대저압부가 오후 3시쯤 흑산도 동남동쪽 40㎞ 해상에 이른 뒤 이날 저녁쯤 온대저기압으로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좁은 지역에 비를 퍼붓는 열대저압부와 달리 전선이 동반되는 온대저기압은 넓은 지역에 비를 내린다.
이에 남부지방은 온대저기압이 가까이 지나는 데 더해 정체전선까지 남하해 들어오면서 이날 밤까지 시간당 30~50㎜의 집중호우가 예상된다. 일부에는 시간당 강수량 70㎜ 안팎의 ‘극한호우’까지 예상된다. 동해안은 온대저기압과 우리나라를 차지한 고기압에서 동풍이 불어 들면서 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1일 오전 11시 예보에서 길게는 22일까지 강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부산·울산·경남에 50~100㎜(부산·울산·경남남해안 최대 150㎜ 이상), 대구·경북·호남에 30~80㎜(호남 최대 120㎜ 이상, 대구·경북남부 최대 100㎜ 이상) 비가 더 내릴 것으로 보인다.
강원동해안·강원산지·충청·제주엔 20~60㎜(제주산지·중산간 최대 120㎜ 이상, 강원동해안·산지 최대 80㎜ 이상), 경기남부와 강원남부내륙엔 10~60㎜, 강원중북부내륙엔 5~30㎜, 서울·인천·경기북부엔 5㎜ 미만의 비가 추가로 예상된다.
21일 낮까지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 가운데, 강원 영동과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집중됐다.
20일 자정부터 21일 오후 3시까지 누적 강수량을 보면 제주 한라산 삼각봉에 568.5㎜, 경남 창원 425.2㎜, 강원 속초 319.0㎜, 전남 순천 299.2㎜, 부산 270.9㎜의 비가 쏟아졌다.
창원(21일 오후 3시까지 일강수량 293.5㎜), 상주(153.9㎜), 군산(144.7㎜), 장수(184.6㎜), 김해(296.8㎜), 양산(273.3㎜) 등에서는 기상관측 이래 9월 일 강수량 1위 기록이 경신됐다.
거센 비로 비 피해도 잇달았다. 이날 오전까지 전국 6개 시도에서 600여 명이 대피하고, 도로와 주택 침수도 각각 78건, 27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