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윤석열 정부의 남북관계에 대해 “현 정부 들어 9.19 군사합의는 파기되었고, 한반도는 언제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지 모르는 위태로운 상황이 되었다”면서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에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에 나설 것은 현 정부에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통령은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을 맞아 20일 전남 목포 호텔현대에서 열린 ‘전남평화회의’ 기조연설에서 “지금 한반도 상황은 한국전쟁 이후 가장 위험한 상황”이라며 “상대가 좋든 싫든 안보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대화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현 정부는) ‘힘에 의한 평화’만을 외치며 대화를 포기하고 사실상 흡수통일 의지를 피력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북한과의 신뢰 구축과 대화를 위해 흡수통일 의지가 없음을 거듭 표명해 온 역대 정부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반도를 둘러싼 냉전 구도가 강화되는 것은 더욱 우려스럽다. 대한민국이 신냉전구도 강화에 앞장서거나 편승해서는 안 된다”며 “편중 외교를 탈피하고 국익을 앞세우는 균형 외교로 스스로 평화의 길을 찾고, 나아가 평화의 중재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통령은 남북 관계에서 정부의 주도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문 전 대통령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 일에 우리가 뒷전으로 밀려선 안 된다”며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한반도 상황이 요동치게 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남북·북미 관계와 관련해 “남북대화가 선행되고, 그것을 통해 북미대화까지 이끌어야 한다”며 “비핵화도 북미 간 문제로만 미루지 말고 우리가 더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을 향해서도 “다시 핵에 매달리고 대결을 외치며 과거로 회귀하는 것은 무모하고 위험하다”며 “하루속히 대화의 장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것을 두고 “평화와 통일이라는 겨레의 염원에 역행하는 반민족적 처사”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임동원·정세현·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박지원·서훈 전 국가정보원장,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