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을 이어온 의대 교수들이 “의정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응급실 뺑뺑이뿐만 아니라 암 환자 뺑뺑이도 나타날 것”이라고 13일 주장했다.
채희복 충북대병원·의대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충효 강원대 의과대학·강원대병원 교수 비대위원장, 박평재 고대의료원 교수 비대위원장은 13일 충북대 의대 첨단강의실에서 단식 농성 마무리 기자회견을 열고 “올겨울이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지난 9일 삭발식을 하고 이날까지 단식 투쟁에 들어갔다.
박 교수는 “건강검진은 연말에 집중되기 때문에 겨울에 새로 암을 진단받은 환자들이 늘 것”이라며 “하지만 겨울에는 호흡기계 질환과 심혈관, 뇌출혈 질환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암 환자들이 중환자실 자리를 찾지 못해 뺑뺑이를 도는 경우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눈앞의 추석에 대해서만 대비하고 있지만 정말 두려워해야 할 시기는 이번 겨울”이라고 강조했다.
채 교수도 “충북대병원의 경우 전공의들이 떠난 뒤 원래 5~6개 정도 열리던 수술방이 3개만 열리고 있는데 한 곳은 응급 외상 환자를 수술하고 한 곳은 스탠바이(대기)를 해야 해서 정규 수술용은 한곳밖에 없는 셈”이라며 “겨울에 암 환자들이 증가하면 수술받을 곳을 찾지 못해 뺑뺑이를 겪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교수들의 사직으로 당장 지역 필수 의료 기능 또한 마비됐다고 밝혔다. 채 교수는 “배장환 전 충북대병원 비대위원장이 사직한 뒤 그를 따라 들어왔던 교수들이 다 사직하고 있다”며 “지난달 이미 신부전을 전공한 교수가 나갔고, 부정맥 전공하신 교수는 오는 24일 사직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교수가 빠지면 그 교수가 중심이 돼서 같이 일했던 팀이 망가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도 의대 증원 취소로 수험생들이 겪게 되는 혼란과 피해보다 의료현장 정상화가 우선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박 교수는 “학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내년에 1500명의 신입생이 들어오게 된다면 이들 역시 기존 학생들과 함께 수업받으면서 교육적으로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결국 의학 교육의 질을 유지할 수 없어 의평원(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평가에도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도 “이 사태가 어떻게든 9월엔 정상화돼야 한다”며 “의대 증원 취소로 피해를 보는 1500명의 수험생의 문제가 아니다. 대통령이 결단해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