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5.8%는 ‘응급실 뺑뺑이’의 해법으로 ‘전공의 즉시 복귀’를 꼽았다. 응급실 뺑뺑이 문제는 지난 2월 전공의 이탈 이후 심화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또 국민의 82.2%는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의대 증원 등 정부 의료개혁 방향에 찬성하는 여론은 의·정 갈등의 장기화 국면에서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국민일보가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진행한 ‘의대 정원 및 의료개혁 관련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8%는 응급실 뺑뺑이 해법으로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거로 ‘전공의 등의 즉시 복귀’를 지목했다. 이어 ‘정부의 의대 증원계획 철회’(20.3%), ‘경증환자의 동네 병·의원 활성화’(13.6%), ‘필수의료 수가(진료비) 대폭 인상’(8.4%) 등이었다.
전공의 등의 즉시 복귀가 시급하다는 응답은 전체 연령대에서 모두 50% 이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도 전체 지역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진료받지 못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에서 전공의 복귀를 선택한 답변은 62.8%로 높게 나타났다. 가족 구성원 가운데 영·유아가 있는 응답자 65.7%도 전공의 복귀를 꼽았다. 의료 공백 상황을 실제로 경험했거나 진료 공백 우려가 비교적 큰 응답자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응급실 뺑뺑이를 비롯한 의료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정부의 의대 증원을 지지하는 여론은 높게 나타났다. ‘의료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지만, 의대 증원은 필요하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2.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같은 답변은 전 연령대에서 70% 이상으로 집계됐다. 60대 이상에서 가장 높은 86.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에서 90.4%로 압도적 찬성을 보였다. 다른 지역도 80% 이상 찬성률을 기록했다. 가장 낮은 인천·경기는 79.5%였다.
반면 ‘의대 증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7.8%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20대(21.0%)와 30대(20.0%)에서 가장 높은 양상을 보였다.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부 교수는 “의료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국민의 불편이나 두려움이 커진 상황인데도 ‘의사 수가 부족해서 생긴 문제’라는 인식이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민일보는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1~12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의대 정원 및 의료개혁 관련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온라인 패널 조사 방식이 적용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