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들이 10일 “인구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청년층이 결혼하고 육아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며 주거와 일자리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공동 선언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24대한민국시도지사 정책 콘퍼런스 공동선언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외국인 정책을 조정하고 이주민에 대한 포용 정책을 강화해 인구 감소와 특정 산업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공동선언문에는 시도지사협의회장인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등 17개 시도지사 모두 이름을 올렸다.
시도지사협의회는 “저출생·고령화와 지방대학 소멸 등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권의 확대와 재정권의 강화가 필요하다”며 “동시에 중앙과 지방간에 협력체계를 강화해 지방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시도지사들이 대한민국이 직면한 주요 위기를 진단하고 지방정부의 입장에서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국 13개 시도지사가 참석해 각 지역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을 공유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영상 축사에서 “정부는 사람과 기업이 지역에 모여들 수 있도록 정주 여건 개선에 힘을 쏟고 있고 가장 중요한 교육과 의료 개혁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중앙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전략을 세우고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기조 발제에서 ‘균형발전과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주제로 수도권 일극주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현재 대한민국의 3대 문제인 잠재적 성장률 지속 저하, 유례없는 저출산, 사회적 격차 심화는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고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구조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한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결혼비용 및 임신·출산가정 대출이자 지원 등 충북에서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저출생 대응 정책과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K-유학생 제도 등을 소개했다.
김 지사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대담한 실행력만이 지방을 살리는 길이다”며 “대한민국의 중심이라는 위상에 걸맞은 혁신 정책들을 과감하게 실천해 변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힘쎈충남 풀케어 돌봄정책’을 지역 인구 감소 대응과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법으로 제시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