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일제강점기 선조 국적 논란과 관련해 “학술적으로 우선 정리가 될 필요가 있다”며 사실상 사과를 거부했다.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김 장관은 ‘일제시대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인사청문회 발언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는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제 선조가 항일 의병장으로 아주 젊은 나이에 순국하셨다”며 “어릴 때부터 일본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교육받고 자랐다. 제가 친일을 한다는 말은 많은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항변했다.
김 장관은 야당 의원들의 거듭된 사과 요구에도 “해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부분은 견해 차이가 많을 수 있다. 이 점은 학계에 맡겨야 할 문제이지 정치권에서 이야기하면 끝이 안 난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야당 간사인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계속 회의를 해야 하는지 회의감이 든다”며 정회를 요청했다.
김 장관은 이와 함께 지난 4일 KBS 라디오에서 “국회만 없으면 장관 할 만하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그만큼 국회가 중요하다는 발언이었다. 국회를 경시한다는 건 있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