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24주 연속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강남·서초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 중 신고가 거래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9월 5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이뤄진 서울 아파트 매매 가운데 이전 최고가 기록을 넘어선 ‘신고가 거래’가 전체의 11%를 차지했다. 지난 5일까지 신고된 8월 신고가 거래도 12%에 달했다.
특히 강남 지역 신고가 거래 비중이 컸다. 서초구가 34%(7월 기준)로 서울 25개구 가운데 가장 높았고, 8월에도 32%를 차지했다. 아파트 매매 계약 3건 중 1건은 신고가 거래였던 셈이다.
강남구의 신고가 거래 비중도 지난 6월 16%에서 7월 25%, 8월 35%로 껑충 뛰었다. 용산구도 7월 26%에서 8월 30%로 높아졌고, 종로구(33%) 마포구(23%) 양천구(18%) 송파구(17%) 등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속출했다.
반면 금천구(2%) 강북구(3%) 노원구(4%) 등의 신고가 비중은 5%에도 미치지 못했다.
단지별로 보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전용면적 84㎡)가 지난 7월 55억원에 거래됐다. ‘국민평형’ 기준 최고가 기록이다.
서초구 반포 자이 84㎡도 지난달 39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84㎡(36억원).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84㎡(27억5000만원) 등도 신고가를 줄줄이 갈아치웠다.
한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조사에 따르면 9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고점(2022년 1월 셋째 주)의 93% 수준을 회복했다. 서초·강남·송파·성동구는 이미 전고점을 넘어섰고, 용산구도 전고점의 99% 수준에 다다랐다.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도입 등 대출 규제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서울의 지역 간 부동산 가격 편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자금 여력이 있는 강남권 고가 아파트 매수자들은 대출 규제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며 “대출 규제가 당장 집값 상승 폭을 낮추기는 하겠지만, 서민 실수요자들의 자금줄을 조여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