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6년 봄 정식 운행을 목표로 5일 남산 곤돌라 착공식을 열었다. 운행이 시작되면 곤돌라 25대가 시간당 최대 1600명을 태우고 중구 예장공원(명동역 인근)~남산 정상을 오가게 된다. 정상까지 소요 시간은 5분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착공식에서 “남산 곤돌라 운행이 시작되면 남산의 생명력, 활력, 매력, 경쟁력이 엄청난 속도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곤돌라 사업은 남산이 살아나는 획기적인 전기로 기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앞서 남산 곤돌라 우선시공분 공사를 지난달 12일 시작했다. 내년 11월 준공돼 2026년 봄 정식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남산 곤돌라는 예장공원(하부승강장)과 남산 정상(상부승강장) 832m 구간을 운행한다. 현재 남산에 오르는 방법은 걷기와 자전거, 케이블카, 남산순환버스가 전부인데, 곤돌라가 추가되는 것이다. 곤돌라엔 휠체어와 유모차 탑승도 가능해 교통 약자도 남산에 편하게 오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시는 또 녹색서울시민위원회의 자문 의견을 남산 곤돌라 기본 설계안에 반영했다. 곤돌라가 남산 생태계와 경관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설계안을 통해 남산공원 내부에 설치되는 지주는 2개로 최소화했다. 지주 높이는 경관을 고려해 기본 계획 대비 최대 15m 낮췄다. 지주 모양은 철탑형 대신 원통형으로 설계해 훼손 면적을 줄였다.
시는 공사 시 수목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재 운반 등을 가설 삭도(공중길)로 한다는 방침이다. 또 훼손된 지형은 기존 식생 식재 등을 통해 복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영구 훼손 공원 면적을 20㎡ 내로 제한한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