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 한전에 ‘철도용 전기요금’ 신설 등 건의

입력 2024-09-05 14:39
인천교통공사 등 전국 철도운영기관 관계자들이 3일 한국전력공사에 공동건의문을 전달하는 자리에서 철도용전력 전기요금 계약종별 신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교통공사 제공

인천교통공사는 지난 3일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등 15개 전국 철도운영기관과 함께 공동건의문을 한국전력공사에 전달했다고 5일 밝혔다. 공동건의문에는 ‘교육용전력’과 같은 수준의 ‘철도용전력’ 전기요금 계약종별 신설, 최대수요전력 기본요금 적용방법 개선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 2021년 ‘원가연동형 요금제’ 도입에 따라 최근 3년간 전기요금이 40% 이상 급등하면서 수송원가 3분의 1에도 미치는 않는 철도 운임으로 운영되는 인천교통공사 등 철도운영기관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인천교통공사는 지난 2022년 81억원(37.4%), 지난해 92억원(30.8%) 등 더 많은 전기요금을 추가 납부했을 뿐 아니라 전기요금 상승에 따른 재정적 어려움을 크게 겪고 있다. 시민들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지만 일반기업과 같은 전기요금 계약종별을 ‘산업용전력’으로 적용받아 전기요금을 납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한전은 발전용량 관리를 위해 피크전력을 계절별·시간대별로 구분해 전기요금을 부과하고 있지만, 철도는 출·퇴근시간대 전력수요가 집중돼 계절별·시간대별 전기사용량을 조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산업용으로 일괄 적용받고 있다.

김성완 인천교통공사 사장은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고효율 제품 도입, 회생 전력 활용 등 다양한 자구 노력을 하고 있지만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 공동건의문 전달로 철도의 특성과 공공성을 감안한 전기요금제도가 개선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