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장한 해수욕장에서 피서를 즐기다 수난 사고를 당하는 관광객들이 늘고 있다. 당국은 폐장 해수욕장 출입을 막기 위해 안전띠를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며 ‘늦깎이 피서객’ 보호 조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속초해양경찰서는 2일 경찰서 회의실에서 강원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지자체 관계자 등과 함께 폐장 해수욕장 대책 회의를 했다.
이날 회의의 핵심은 폐장 해수욕장에서의 수난 사고 예방이다. 여름철이 끝나가며 전국 곳곳에서 해수욕장들이 운영을 종료하고 있지만, 폐장 해수욕장에 임의로 들어가 물놀이를 즐기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 지난달 25일 오전 11시54분쯤 고성군 삼포해수욕장에서 40대 A씨가 물에 빠져 도움을 요청하다 인근 시민에 구조됐다.
같은 달 26일 오후 1시39분쯤에는 양양군 하조대해수욕장에서 물놀이를 하던 30대 B씨가 구명조끼를 입은 채 바다에 표류하다 구조됐다. 이 남성을 구하는 데만 해경 5명이 투입됐다.
속초·양양지역 해수욕장 대부분은 지난달 25일부터 폐장 상태였다. 이런 식으로 폐장 해수욕장에서 올 여름 동안 발생한 물놀이 사고만 10여건에 달한다. 4명은 숨졌다.
문제는 폐장 해수욕장에서 물놀이하는 피서객을 막을 법적 장치가 없다는 점이다. 해수욕장들은 ‘안전요원을 더 이상 배치하지 않는다’ 등 경고 문구를 부착했지만 사고는 이어지고 있다. 폐장 해수욕장을 찾은 이들은 방송 인터뷰에서 “딸이 수영을 잘해 괜찮다” “이 정도면 안전하지 않냐” 등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응은 해양경찰 몫으로 남았다. 해경은 사망사고 발생 해변 사고 예방 현수막 부착, 사고 다발지역 위험표지판 설치, 연안 사고 위험예보 발령 시 해수욕장 출입 금지 안전띠 설치 등 조치를 하기로 했다.
또 드론순찰대를 운영하고 해경구조대가 수시로 취약 지역을 순찰하며 사고 예방에 나설 계획이다.
해경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바다는 이안류 발생 등으로 인명피해 위험성이 높아 폐장 후에는 물놀이를 자제해야 한다”며 “물놀이 시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등 안전 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