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국내 최초 스마트 물류운송장비 국산화…3조원 성장 전망

입력 2024-09-02 13:38
올해 4월 개장한 부산항 신항7부두에서 사용 중인 고중량물 이송 자율이동체 ‘무인운송차량’(AGV).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국내 3조원 이상의 시장 성장이 전망되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고중량물 이송 자율이동체 시험평가센터 기반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0억원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고중량물 이송 자율이동체란 10t 이상의 화물을 운반하는 무인 화물차로 운행경로를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 ‘무인운송차량’(AGV)과 스스로 판단해 이동하는 ‘자율주행로봇’(AMR)을 말한다.

이들 장비는 미국 롱비치항,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중국 칭다오항 등 세계 주요 항만에서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는 올해 4월 개장한 부산항 신항7부두에 ‘AGV’ 60대가 처음 도입됐다.

고중량 화물을 이송해 항만과 공항, 물류창고, 제조공장, 건설 현장 등 다양한 물류분야에서 도입되면서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ABI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항만에 자율이동체 37만대 550조원과 국내 460대 3조원의 시장 성장을 전망했다.

이에 경남도는 국산화가 시급한 물류장비산업 육성을 위해 김해시, 경남테크노파크와 함께 중앙부처에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강력하게 건의한 결과 이번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시험평가센터는 김해 명동일반산업단지에 설치되며 경남테크노파크가 사업을 총괄하고 한국전기연구원, 인제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가 참여한다. 2028년까지 26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고중량물 이송 자율이동체 테스트를 위한 주행시험장과 다양한 시험 장비를 설치한다.

도는 이번 공모사업을 통해 도내 주요 물류거점에 공급될 스마트 물류장비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특히 2030년 이후 개장하는 진해신항, 가덕도신공항 등 대규모 물류시설에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장비인 만큼 국산화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경남은 우수한 물류 환경을 갖춰 진해신항, 가덕도신공항 등 국제물류거점 개발로 스마트 물류장비 개발에 최적의 입지다”며 “도내 물류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트라이포트와 연계한 다양한 물류산업을 중점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