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에서 발생한 수해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단체의 대북 사전접촉을 허용했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수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해 현 남북 관계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수해 지원 목적에 한해 현재까지 접수된 단체들의 접촉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일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의 발표 형식으로 북측에 수해 지원을 제안했다. 이후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어린이어깨동무, 월드비전 등 민간단체들도 수해 지원을 목적으로 통일부에 대북 접촉을 신청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10개 단체 중 9개 단체에 대해 관계기관 협의가 마무리돼 오늘 수리했다”며 “1개 단체는 협의 결과를 봐가며 곧 처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통일부의 민간단체 대북 접촉 승인은 지난해 11월 이후 약 9개월 만이다.
수해 지원이 아닌 다른 목적의 접촉은 아직 검토되지 않았다. 김 부대변인은 “이번 수해 지원 목적에 한해서만 (접촉 승인을) 수리한 것”이라며 “현재는 남북관계 상황에 필수적 사안을 중심으로 접촉을 허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필수적 사안은 국민 안전 및 재산권 보호, 이산가족 등과 관련한 접촉이다.
이번 접촉 승인은 곧바로 대북지원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다만 대북지원을 희망하는 민간단체들이 북한과 관련 내용을 협의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이 우리 측 단체들의 지원 제의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지난 1일 정부 제의도 사실상 거절 의사를 밝혔기에 민간단체의 접촉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