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딥페이크 성범죄 사태와 관련해 숙명여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규탄하는 대자보를 냈다.
비대위는 지난 28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우리는 어디서 살아가야 하는가 - 여성 성착취 딥페이크 영상 유포 텔레그램방 사태에 대한 가해자 모두를 규탄한다’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온라인에 게시했다.
이들은 “최근 모 대학의 공론화를 시작으로 텔레그램을 통한 딥페이크 범죄는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밝혀졌다. 대학가 뿐만 아니라 각 지역과 초∙중∙고, 회사와 군대, 심지어 가정이라는 분류로 나뉘어 체계적이며 조직적으로 확산됐다”며 “본 사태는 여성 성착취 범죄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도, 근절되지도 않았기에 발생했다.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실질적인 대응을 하지 않은 이 공간의 모두가 방관자이자, 가해자”라고 비판했다.
또 “한국 사회의 방관과 침묵은 여성이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타 대상의 ‘놀잇감’으로 소비되도록 방조했다”면서 “이는 ‘여성’을 성적 도구로 보고 멸시하는 문화를 고착화시켰다”고도 했다. 숙명여대의 움직임에 덕성여대 동덕여대 배화여대 성신여대 한양여대 총학생회도 연서명에 나섰다.
이번 사태는 한 대학에서 여학생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 영상물이 유포된 사건이 드러나면서 시작됐다. 비슷한 종류의 텔레그램 대화방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피해 규모가 커졌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7일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방안과 관련해 “마약과 같은 수준의 단속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