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이나 SNS 이용자의 사진을 합성해 만든 ‘딥페이크’ 음란 영상물의 대상이 된 피해자 3명 중 1명 이상은 미성년자인 것으로 드러나 우려를 더한다.
28일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로부터 딥페이크 피해 지원을 요청한 781명 가운데 36.9%(288명)는 10대 이하의 미성년자였다.
타인의 일상 사진이나 일반 영상물을 성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형태로 합성·편집한 ‘딥페이크’에따른 피해 지원을 요청한 미성년자는 2022년 64명에서 2024년(8월 25일 기준) 288명으로 2년 만에 4.5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피해 지원 요청자가 212명에서 781명으로 3.7배 증가한 속도보다 더 가파르다.
디성센터 관계자는 “10대와 20대 등 저연령층에서 관련 피해가 높게 나타난 것은 이들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SNS 등을 이용한 온라인 소통과 관계 형성에 상대적으로 익숙하기 때문”이라며 “최근 딥페이크 기술이 발전하고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등장함에 따라 손쉽게 불법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보급되면서 관련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딥페이크로 인한 피해가 전국 곳곳의 학교에서 급격하게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과 각 지역 교육청이 강력 대응에 나섰다. 정부도 딥페이크 성범죄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모니터링 요원을 늘려 실시간 피해 상황을 감시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경찰은 음란물 제작 텔레그램 대화방에 대한 내사에 착수하고, 이번 달부터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한 특별 집중 단속을 벌일 방침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