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도 ‘딥페이크’ 피해 학교 명단 진위 조사 착수

입력 2024-08-27 15:15 수정 2024-08-27 15:19

음란물에 특정인의 얼굴 이미지를 합성해 가짜 영상물을 만드는 딥페이크 성범죄가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는 가운데, 온라인 상에서 제주지역 학교 이름이 포함된 피해자 명단이 나돌아 제주 경찰이 조사에 나섰다.

전날부터 SNS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텔레그램 딥페이크 피해자 명단’이 공유되고 있다.

피해자 명단에 제주도 내 학교가 포함되면서 제주경찰청은 명단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다만 이번 논란과 관련해 제주경찰청이나 제주도교육청에 딥페이크를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에 노출됐다는 피해 신고는 없는 상태다.

제주도교육청도 27일 일선 학교에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피해 지원 방안을 안내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각 학교에 파급한 대응 방안에는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해 알아야 할 안전 수칙과 디지털 성범죄 발생 시 신고 방법, 피해자 상담 및 지원 기관, 디지털 성범죄 발생학교 예방교육 강사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도 같이 제공하고 있다.

27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최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딥페이크 영상물이 SNS를 타고 빠르게 유포되고 있다”며 “디지털 성범죄를 뿌리 뽑아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제주에서는 학교 친구들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성착취물을 제작하고 이를 함께 돌려본 국제학교 학생 4명이 검찰에 넘겨졌다.

서귀포경찰서에 따르면 국제학교 재학생 4명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휴대전화 앱 등을 이용해 같은 학교 학생들의 얼굴 사진을 음란물과 합성하는 방식으로 성착취물을 수십차례 제작하고, 이 중 3명이 제작한 성착취물을 함께 돌려 본 혐의를 받고 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