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하반기 이후 민간소비 회복속도가 점차 빨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적 요인, 자영업자 업황 부진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은은 23일 ‘최근 민간소비 흐름 평가’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러한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 핵심부문인 소비는 회복이 더딘 것으로 분석했다. 고물가, 고금리 여파에 이자부담, 자영업자 업황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저출산,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도 소비 회복을 늦춘다고 봤다.
한은은 올해 하반기부터 기업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명목임금 상승률이 확대되고, 물가 상승률도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은은 전날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0.1% 포인트 낮춰잡기도 했다.
한은은 또 금융 여건이 완화하는 상황에서 IT 기기 등 내구제 교체 시기가 점진적으로 도래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봤다. 침체한 내구재 소비 회복에 힘을 보탤 것이라는 판단이다.
한은은 “수출이 호조를 유지하고 민간 소비가 회복하면서 수출과 내수 간 격차가 줄어들고 균형있는 성장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 구조적 요인과 자영업자 업황 부진은 소비 회복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