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관광 명소가 부족하니 중국이나 일본에 가라며 폄하 발언을 했던 태국 여행업계가 결국 사과했다.
18일 태국여행업협회(TTAA)는 최근 짤른 왕아나논 회장 명의의 공식 사과 서한을 통해 “협회의 공식 입장이 아닌 일부 관계자의 개인적 발언으로 한국에 오해와 심려를 끼쳤다. 협회 차원에서 많은 관광객이 한국을 찾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TTAA는 태국 관광객을 외국에 보내는 여행사들이 모여 만든 단체다.
이는 “한국을 찾는 태국인 관광객이 감소한 것은 관광 명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 명소는 인기 영화와 넷플릭스 콘텐츠를 통해 알려졌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 중국과 일본에는 더 많은 명소와 비자 면제, 덜 비싼 가격, 놀라운 전망, 좋은 분위기 등 매력이 있다”는 유타차이 순똔라타나벗 TTAA 부회장의 최근 발언에 대해 한국관광공사 등이 문제를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19 확산 전 태국은 동남아 국가 중 한국을 가장 많이 찾는 곳이었지만 최근 들어 감소세다. 지난 6월 기준 태국은 동남아 국가 중 방한 관광객 5위에 그쳤다. 관광 업계는 태국인이 한국을 찾지 않는 이유로 입국 불허 논란을 꼽는다. 태국에서 한국에 들어올 때 필요한 전자여행허가(K-ETA)가 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됐다는 논란이 지난달 말 확산했다. 태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한국 여행 금지’라는 해시태그(#)가 유행하기도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법무부에 올해 말까지 태국인에 대한 K-ETA 한시 면제 조치를 요청했다. 법무부는 불법 체류율이 높은 국가의 K-ETA 한시 면제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태국은 한국 불법 체류 1위 국가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