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항(順航)할 것 같았던 대구경북통합 문제가 암초를 만났다.
행정통합을 놓고 대구시의 일방적 주장이 지역 일간지를 통해 공개되자 경북도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데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이 이달말까지 합의안이 나오지 않으면 장기과제로 넘기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6일 “대구경북 통합 문제는 8월말까지 합의안이 나오지 않으면 장기과제로 넘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말하고 “8월 말이 지나면 물리적으로 시간이 없고 국회 통과도 보장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비생산적인 청사와 의회 및 소방본부 소재지가 상식적 수준에서 결정되지 않고 미룰 경우 통합 후 갈등만 더 증폭된다”고 기존 입장을 강조했다.
특히 “대구혁신사업에 하반기에도 전력을 다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이 문제에 매몰되어 있을 여유가 없다”며 “실무진에서 상식적인 수준의 관공서 배치를 조속히 합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매일신문은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대구경북통합을 위한 ‘대구경북특별시 설치에 관한 특별조치법’(가칭) 등 4건을 마련하고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위한 속도전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경북도는 15일 입장문을 통해 “매일신문에 보도된 대구경북행정통합 관련 4건의 기사 내용은 대구시가 주장하는 일방적 내용이며 경북도와의 합의안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해당 보도와 관련해 행정통합 부서 관계자 누구도 해당 기사와 관련해 매일신문의 취재 요청이나 질문을 받거나 답변한 적이 없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신문이 대구시 안을 경북도와의 합의안인 것처럼 보도한 것은 행정통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판단해 강력히 항의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매일신문은 “대구시와의 절충과정이 남아있지만 이 지사의 시·도 통합 의지는 확고하다. 그는 시·도 통합이 단순히 행정통합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행정통합을 기반으로 우량 기업을 더 많이 유치하고 지역간 연계와 협력뿐 아니라 적절한 분업을 통해 경제와 산업을 키워 시도민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도록 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또 “경제·산업 분야세서의 획기적 도약없이는 대구경북의 미래가 어두운 만큼 대구시와 경북도가 대승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현재 도는 외교·국방 등을 제외한 분야에서 4대 원칙에 기초해 총 6편, 272개조로 구성된 통합 법률안을 마련해 대구시와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대구시가 내놓은 대구, 안동, 포항 3개 청사별로 자치단체를 관할하는 안은 본래 행정통합의 취지와 맞지 않다”면서 “시도민의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통합 대구경북청사는 기존 청사를 그대로 유지·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경북도의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부분에 대한 대구시와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시·도 공동 합의안도 미완성 상태”라고 못박았다.
경북도의회도 이날 공식 브리핑을 통해 “매일신문의 보도 내용 가운데 대구시의 ‘대구경북특별시 특별법안’ 일부는 경북과 대구가 합의하지 않은 내용”이라며 “대구시가 여론몰이를 하는 것에 대해 크게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민 A씨는 “합의되지 않은 사안을 일방적으로 보도한 이번 사태를 보면 앞으로의 통합진행 절차나 과정이 매우 걱정스럽다”며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공무원들이 독단과 고집 보다는 소통과 배려가 우선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