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계기로 건국절 제정을 추진하려한다는 주장이 나오자 윤석열 대통령이 “먹고 살기 힘든 국민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라며 답답함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에게 “국민 민생과는 동떨어진 불필요한 이념 논쟁”이라는 취지로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정부가 처음부터 건국절을 제정할 의사나 계획이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관장 임명과 건국절 논쟁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건국은 1919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산업화, 민주화를 거쳐 이어져 온 과정으로서 특정 시점을 정할 수 없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헌법에 입각할 때 통일 시점이 건국일이 된다는 것이다.
앞서 광복회를 포함한 일부 독립운동 관련 단체들은 김 관장 임명에 반발해 정부가 주최하는 광복절 기념식에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권과 광복회는 김 관장의 뉴라이트 역사관을 지적하며 정부가 건국절 제정을 위해 사전 작업을 벌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광삼 시민사회수석은 최근 이종찬 광복회장을 직접 찾아가 이 같은 대통령실의 입장을 직접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진석 비서실장도 이 회장에게 여러차례 연락을 취해 광복절 참석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통령실은 김 관장에 대한 임명 철회는 없다는 입장이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