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CJ라이브시티와 협약을 해제한 ‘K-컬처밸리 사업’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차질 없는 ‘K-컬처밸리’ 사업 추진”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지난 12일 도민 1만758명이 참여한 ‘CJ라이브시티 관련 상세한 소명, 재검토, 타임라인 제시 요청’ 제목의 도민 청원에 대해 “지난달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고양시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TF를 구성해 구체적 실행 계획과 사업성 제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택지개발 등을 위한 사업계획 변경은 없을 것”이라며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원래 계획대로 신속하게 추진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민 청원 참여 인원이 1만명을 넘으면 30일 이내에 도지사가 직접 답변해야 한다
김 지사는 답변문을 통해 독립적인 책임 자본 확보, 건공운민'(개발은 공공, 운영은 민간) 방식 추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투자 확대 등 세 가지 추진 방향을 거듭 제시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와 1410만 도민의 바람은 ‘K-컬처밸리'의 원안 그대로 속도감 있는 추진”이라며 “경기도는 민간과 함께 공영개발 방식으로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사업부지 중 경기도가 소유한 테마파크 부지와 상업용지를 경기주택도시공사(GH)에 출자해 자금을 마련하며, 이 자금은 오롯이 ‘K-컬처밸리’ 사업에만 사용될 수 있도록 독립 운영할 것”이라며 “GH와 민간기업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개발은 신속하게 공공에서 추진하고, 운영은 국내외의 민간 전문기업이 맡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해외기업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방송영상밸리, 일산테크노밸리 등 인근 개발사업과의 연계까지 고려한 마스터플랜을 빠르게 수립하겠다”며 “이를 위해 고양시민을 포함한 경기도민들과 적극 소통해 더욱 발전적인 방안을 함께 고민하겠다. 성공적인 마무리까지 경기도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K-컬처밸리는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부지 32만6400㎡에 1조8000억원(2020년 6월 기준)을 투입해 K-팝 전문 아레나와 스튜디오, 테마파크, 상업·숙박·관광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도는 전체 공정률이 3%에 불과한 가운데 시행자인 CJ라이브시티의 사업 추진 의지가 없다고 판단해 2016년 5월 체결한 ‘K-컬처밸리 사업 기본협약’을 지난 6월 28일 해제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