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올림픽이 11일(현지시간) 폐회식을 끝으로 16일간 치러진 지구촌 스포츠 축제를 마무리했다. 소수 정예로 나선 ‘팀코리아’ 한국 선수단은 어두웠던 메달 전망을 지워내고 ‘파리의 기적’을 써내며 희망을 밝혔다. 세계 최강의 실력을 보여준 ‘활·총·칼’ 양궁·사격·펜싱 종목의 대활약 속에 세대교체 신호탄까지 쏜 한국 선수단은 4년 뒤 열릴 LA올림픽에서 또 한 번의 성장 드라마를 기대케 했다.
한국 선수단은 1976 몬트리올 대회 이후 48년 만에 역대 최소 인원인 21종목 144명으로 파리올림픽 무대에 도전했다. 금메달 5개에 종합 15위라는 보수적 목표를 내걸었지만, 이를 크게 뛰어넘는 성적표를 받아냈다. 한국은 파리올림픽에서 메달 30개(금13·은8·동9)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메달을 30개 이상 따낸 건 하계올림픽 역대 다섯 번째이자 2012 런던 대회 이후 12년 만이다. 금메달 숫자는 최다 13개를 수확했던 2008 베이징, 2012 런던 대회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한국 선수단은 전종목에서 세대교체 흐름이 짙었다. 체육계 관계자들은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베테랑 국가대표들이 대거 은퇴한데다 올림픽 경험이 적거나 없는 신예들이 나서면서 적잖은 우려를 드러냈었다. 다만 근심과 걱정보다는 “일단 한번 붙어보자”는 도전자의 정신으로 밝은 표정 속에 올림픽을 준비하는 어린 태극전사들을 바라보며 반전을 기대했다.
과거 올림픽 경험은 크게 중요치 않았다. ‘3관왕’ 임시현(한국체대)을 필두로 한 여자양궁은 단체전 10연패 위업을 달성했다. 한국 선수단 중 가장 어렸던 사격 대표팀의 2007년생 반효진(대구체고)은 하계올림픽 100번째 금메달을 수확과 함께 최연소 금메달리스트로 이름을 올렸다. 박상원(대전시청)과 도경동(국군체육부대)이 새롭게 합류한 펜싱 ‘뉴 어펜저스’는 남자 사브르 단체전 3연패를 달성하며 미래를 밝혔다.
한국은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스무 살 전후의 어린 선수들의 활약이 도드라지면서 2028 LA올림픽에서 더욱 큰 성과를 노려볼 수 있게 됐다. 한국 선수단 총감독인 장재근 진천국가대표선수촌장은 “이번 올림픽에는 나서지 않았지만 국가대표들의 훈련을 도운 파트너 선수 중에서도 잠재력을 갖추고 향후 주역이 될 수 있는 선수들이 많다”며 “자율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스스로가 절제하고 발전하려는 노력을 곁들이는 어린 선수들의 성장을 계속 지켜봐 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전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