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이 사이버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가 ‘판교 캠퍼스’로 이름을 바꿔 새출발한다.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은 7일 경기 성남시 판교캠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과 기업들에 어떻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지 고민한 끝에 이름을 바꾸게 됐다”고 밝혔다. 전날 국정원은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를 판교캠퍼스로 변경하는 현판식을 열었다. 2022년 11월 개소한 지 약 20개월 만이다.
명칭을 변경한 건 민간 ‘캠퍼스’처럼 자유로운 환경에서 기존 민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다. 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가 상위 기관인 ‘국가사이버안보센터’와 명칭이 비슷해 초래됐던 혼선을 해소한다는 목적도 있다.
현재 판교캠퍼스에는 15개 국가·공공기관과 9개 정보보호 업체 소속 60여명이 상주하고 12개 기관·업체가 비상주로 참하고 있다. 국가사이버위협 정보공유시스템(NCTI·KCTI) 등 플랫폼에 참여하는 기관은 민간기업까지 630곳이다.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 건수는 2020년 약 4만건에서 센터 개소 이후인 지난해 26만건으로 늘었다. 올해는 이달 초 기준으로 42만건에 이른다.
국정원은 다음 달 범국가 사이버안보 연대인 ‘사이버 파트너스’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이를 통해 망 분리·공급망 보안 등 국가 사이버 보안정책 수립과정에서 관련 업계와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윤오준 3차장은 “‘판교캠퍼스’는 국민과 함께 하는 공간”이라며 “소통, 교육·훈련, 기업 상생 등 국가 사이버협력 핵심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