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구덕운동장 도시재생혁신지구 내 아파트 건립 계획을 수정하고 주민편의시설을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을 앞두고 주민 반대 의견 등을 빠르게 수용했지만,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부산시는 구덕운동장 도시재생혁신지구 내 아파트 건립 규모를 조정하고 트랙, 농구장, 쉼터, 어린이 놀이시설 등 실외 주민편의시설을 보강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국토부 공모 신청에 대한 심사평가단 의견과 아파트 건립에 대한 주민의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다.
시는 혁신지구 선정 후 실행계획 수립 단계에서 조정키로 했던 주민 요구사항을 미리 반영해 수정한 ‘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요청서’를 지난 5일 국토부에 제출했다.
주요 변경 내용을 보면 애초 49층 850가구 규모였던 혁신지구 내 아파트는 36층 600가구로 축소됐다. 이에 따른 총사업비는 7990억원에서 6641억원으로 줄어들게 된다.
시는 앞으로 시민토론회, 전문가 및 주민대표, 시의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서구 지역 간담회 등을 통해 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예정이다.
하지만,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 주민협의회 등 일부 주민들은 아파트 건설 계획 자체를 전면 백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갈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심재민 시 문화체육국장은 “부산은 6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축구 전용 경기장이 없는 도시”라며 “이번 재개발을 통해 서구와 원도심 지역의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외부 트랙, 쉼터, 도서관, 키즈카페 등의 시설을 확대해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