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제마을 팽나무는 2020년 537(±50)살로 측정돼 팽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는 과거 부여 석성현에 소재했던 관아의 일부인 ‘석성동헌’(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의 내삼문 오른쪽에 자리한다. 조선시대 지방 관아건물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탱자나무 노거수이다. 나무높이 4.8m, 나무너비 6.8m로 탱자나무로는 매우 큰 규모를 자랑한다.
조선시대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따르면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주변에 가시나무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죄인을 가두는 형벌인 위리안치(圍籬安置)의 가시나무로 탱자나무가 쓰였다. 석성동헌 탱자나무가 죄인을 가두고 형벌을 주던 관아의 동북쪽에 심겨 있는 것으로 보아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손영옥 미술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