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이 증시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CNN방송은 평가했다.
CNN은 “중앙은행의 다음 예정 회의까지 6주 이상 남았는데 그보다 앞서서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예정에 없던 회의를 지금 소집한다면 역효과를 낼 뿐 아니라 오히려 더 큰 공황을 조장할 것”이라고 해설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긴급회의를 소집한 사례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가 확산하던 2020년 3월 3일이 마지막이다. 당시 정책금리를 0.5% 포인트 낮춘 연준은 다시 2주도 지나지 않아 1.0% 포인트 인하하며 거의 제로까지 끌어내렸다.
이때는 상황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었기 때문에 ‘빅 스텝’이나 ‘자이언트 스텝’이 미국인들을 당황하게 할지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고 CNN은 설명했다. 팬데믹 전 연준이 긴급 금리 인하를 단행한 마지막 시기는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치던 2008년 가을이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인터뷰서 “연방준비은행 역할에는 주식시장을 안정시키는 내용이 전혀 없다”며 금리 인하를 통한 개입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CNN은 “연준이 가장 원하지 않는 것은 미국 경제가 잠재적 경기침체의 문턱에 있다고 사람들이 믿는 것”이라며 “그런 믿음은 타당하든 아니든 빠르게 실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08년 10월 7일 연준 긴급회의에서 찰스 플로서 당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일반적으로 저는 긴급회의를 통한 삭감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그것이 안정보다는 공황을 더 많이 반영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해 1월 9일 연준이 예정에 없던 회의를 개최했을 때 현재 재무부 장관은 재닛 옐런 당시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위원회가 이를 공황의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 시장이 생각하는 것보다 상황이 더 나쁘다는 걸 보여주는 내부 정보가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말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CNN은 “이미 미 국채 수익률은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크게 하락하고 있다”며 “이는 다양한 대출에 지불하는 이자율의 풍향계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현재 대출자들이 직면한 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