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이 세계 최고를 기록하는 가운데 올해 5월까지 자살사망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제7차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에 구성된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는 복지부 등 6개 정부 부처와 종교계·재계·노동계·언론계 등 37개 민간기관이 참여한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자살사망 동향과 이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이 보고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자살사망자 수는 총 6375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증가한 수치다. 2023년 전체 자살사망자 수의 잠정치는 1만3770명이었다.
협의회는 이에 따라 올해 총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보다 증가하는 심각한 상황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우울·불안 증가 등의 요인이 자살사망자 수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말 유명인의 자살사망 사건 이후 7∼8주간 ‘모방자살’이 증가한 것도 상반기 증가분에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줄어드는 추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이후 다시 자살사망자가 늘어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자살사망자 잠정치는 전년도보다 864명 증가한 1만3770명으로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오명을 갖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2020년 연령표준화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4.1명으로 OECD 평균(10.7명) 2배 이상이자, 유일하게 20명을 웃돌았다. 2위 리투아니아(18.5명)와는 5.6명 차이가 났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