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대선 개입 여론 조작’ 사건 수사 과정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야당 정치인과 언론인들의 통신 이용자 정보를 조회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국민의힘이 “적법한 수사 절차”라며 검찰 감싸기에 나섰다.
서범수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6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검찰의 통신 조회에 대해 “대선 개입 여론조작 의혹 사건 수사 과정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뤄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서 사무총장은 “민주당은 이 적법한 수사 절차를 불법 사찰로 둔갑시키고 있다. 야권에서는 검찰 폐지론까지 들고나왔다”며 “여론조작이고 무책임한 정치 선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재명 당시 후보는 지난 대선, 전 국민이 보는 TV 토론회에서 ‘커피’ 운운하며 윤석열 후보에게 대장동 사건을 뒤집어씌우려 했다”며 “이 얼마나 파렴치하고 뻔뻔한 일인지 이 전 대표가 받는 4개 재판이 말해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검수완박도 모자라 이재명 전 대표 수사 검찰을 표적 탄핵한 민주당이 이번에는 또 어떤 비이성적 폭주를 이어갈지를 모를 일”이라며 “검찰이 수사 못 하게 손발을 묶고, 극렬 지지층 앞세워 정치 선동한다고 유죄가 무죄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찬대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 주변에 검찰의 통신 조회 문자를 받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보이스 피싱 아니냐’는 말이 나돌 정도”라며 “군사독재정권에서나 있었던 무차별 민간인 사찰”이라고 비난했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도 “최소 3000여명에게, 그 이상일 수도 있다는 대규모 통신 조회가 있었는데 이것은 윤석열식 블랙리스트”라며 “검찰은 가입자 정보만 조회했다고 하지만, 통화 내역과 연결되면 누가 누구랑 통화하고 언제 통화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기 때문에 대규모 사찰 정보가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4월 10일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에게 불리한 정치환경 조성을 피하기 위해서 매우 정치적인 판단을 해서 (통신정보 조회 사실 통보를) 유예한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