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법원이 동성 커플 사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하고 파리올림픽에는 개회식 ‘드래그퀸’ 등장에 이어 남성 ‘XY’염색체를 가진 선수가 여성 경기에 출전하는 등 전 세계에 동성애 파도가 거세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계 단체들은 비판 성명을 내고 주의를 요청했으며 각 교단도 관련법을 제정하거나 특별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반동성애 활동에 나섰다.
지난 1일(현지시간) 파리올림픽 여자 복싱 경기에서 남성을 의미하는 ‘XY’ 염색체를 가진 이마네 칼리프(알제리) 선수가 출전해 논란이 일었다. 칼리프는 여자 복싱 66㎏ 16강전에서 안젤라 카리니(이탈리아)와 경기를 펼쳤고 카리니는 경기 46초 만에 기권했다. 8강전에서도 승리한 칼리프는 현재 동메달을 확보했다. 칼리프가 성전환 수술을 한 것인지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 없어 남자 염색체를 가진 선수가 여성 경기에 출전해도 되는지 찬반이 거셌다.
앞서 개막식에서는 ‘드래그퀸’으로 불리는 여장남자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명화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해 신성모독을 했다는 이유로 빈축을 샀다. AP통신에 따르면 파리 올림픽에 커밍아웃한 동성애자 선수는 191명으로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여자 유도 78kg 결승전에는 알리체 벨란디(이탈리아)가 금메달이 확정된 후 여자친구와 포옹하고 키스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에 대해 기독교대한감리회·한국기독교장로회·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교단이 모인 포괄적차별금지법반대목회자연대는 동성애로 물든 파리 올림픽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목회자연대는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 동성애자들이 음란 공연을 한 것은 전 세계 인류의 보편적인 가정 질서와 미성년 어린이들에 대한 폭력”이라며 “개회식은 과거 그리스 로마 신화가 보여주는 동성애의 과격한 모습을 여과 없이 그대로 패러디한 무책임하고 음란한 공연에 불과하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각 교단의 반동성애 운동도 확산하고 있다. 예장통합(총회장 김의식 목사)은 목사 후보생의 동성애 관련 입장을 확인하는 절차를 총회법에 명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포괄적차별금지법동성애대책위원회(위원장 박한수 목사)가 최근 목사후보생과 총회 임원 및 노회장을 대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반대 입장을 의무 제출하는 안을 청원했다.
청원안에는 ‘총회 고시위원회와 임원선거 조례에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동성애, 동성결혼, 제3의 성(사회학적 성별), 젠더주의에 대한 반대 입장을 서면으로 의무 제출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박한수 위원장은 4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미국과 유럽 등에 동성애 ‘쓰나미’가 온 것은 교회가 침묵하고 교단 차원의 법과 조항을 신설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면서 “교단에서 먼저 깃발을 들어야 교회들도 힘을 합쳐 대처할 수 있다”고 입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노회가 올린 헌의안 중에도 동성애 관련 안이 눈에 띈다. ‘총대가 개별적으로 동성애 및 젠더주의에 대해 반대하는 분명한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이행하지 않을 경우 총대 자격 박탈’ ‘포괄적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에 따른 범교단적 교육 전개에 동참’에 대한 안건도 올라와 관련 부서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류승동 총회장)는 지난달 동성애·차별금지법대책 특별팀(TFT)을 구성했다. 기성 교단 차원에서 동성애 관련 위원회가 조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류승동 총회장은 “앞으로 대표성과 공신력을 가지고 관련 문제에 발 빠르게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첫 회의를 연 특별팀은 차별금지법 입법을 저지하는 게 관건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전국 지방회와 개교회가 사용할 수 있는 차별금지법 대응 지침을 제작하기로 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감독회장 이철 목사)는 지난 2월부터 ‘성경적 동성애 교육 지도자 양성과정’을 가동해 전문 강사를 양성하고 있다. 지난해 입법총회에서 ‘장로과정, 준회원 진급 고시과정, 연회 정회원 연수과정에 동성애 관련 교육을 포함’하도록 법을 개정했기 때문이다. 과정을 수료한 전문 강사들이 교단 목회자와 장로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동성애 교육에 나설 예정이다. 기감 동성애대책위원회는 지난 6월 서울 퀴어축제에서 동성애 축복식에 참석한 목사들의 명단을 공개하고 해당 목사들의 소속 연회에 엄중한 징계를 촉구하기도 했다.
박용미 유경진 손동준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