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연일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자 1195명이 발생하자 행정안전부가 취약계층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참석한 가운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인 이상민 행안부 장관 주재로 ‘폭염 대처 중대본 회의’를 개최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전날까지 온열질환자는 사망 6명을 포함해 1195명이 발생했다. 이날 회의에선 이달 기상 전망과 폭염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취약계층을 폭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관별 대처 방안을 발표했다.
행안부는 부단체장을 중심으로 취약계층 직접 보호 체계를 강화한다. 폭염 예방 물품 보급, 폭염 저감 시설 및 야간 쉼터 확충, 스마트 기기 활용 등 지역의 폭염 예방 우수 사례도 확산한다.
보건복지부는 취약 노인 53만명을 대상으로 일일 안전 확인을 실시한다. 가정 내 ICT 기기를 활용해 폭염 위험을 알리고, 노숙인을 위한 무더위쉼터 152개와 응급 잠자리 142개를 확보한다.
고용노동부는 전국 온열질환 취약사업장 6만4000개를 DB로 구축해 관리하고, 조선업·건물업·택배 사업장 등 취약 사업장을 대상으로 폭염 영향 예보를 신속하게 전파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재해대응반을 운영해 폭염 가축 피해 최소화를 추진하고, 피해 농가를 지원한다. 축사 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진행한다. 피해 농가에는 재해복구비를 지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 수급 대책 상황실을 운영해 실시간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환경부는 녹조·적조 등에 대한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31일 고수온 위기 경보 심각 1단계 발령에 따라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한다. 국토교통부는 도로·철도 안전을 점검하고, 옥외 건설사업자 작업 보호 대책을 시행한다.
각 지자체는 지역재난안전대본부를 가동하고, 취약계층 보호 활동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이·통장, 지역 자율방재단 등 재난안전도우미를 활용해 고령층 농어업인에 대한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소방차 사이렌, 가두방송 등을 활용해 무더운 시간대 농작업 자제를 안내하고, 긴급재난문자(CBS), 예·경보시설, 스마트 마을 방송으로 폭염 특보 상황을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알린다.
이상민 장관은 “정부는 농·어업인, 현장 근로자, 독거노인 등 폭염에 취약한 분들과 취약 시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보호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무더운 시간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야외 활동은 가급적 자제해달라”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