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가치로 추진해 온 대학 설립, 불굴의 도전 계속된다

입력 2024-08-01 14:29 수정 2024-08-01 17:01
분진학원이 설립을 추진 중인 인천광역시 서구의 서인천대 전경. 분진학원 제공

인천 서구 검단 신도시, 흔히 '서인천'이라 불리는 이 지역은 70만 세대가 들어설 예정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가 기독교 계통의 학교법인 분진학원이 이 지역에서 추진하던 대학교 설립을 최종 인가하지 않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달 4일, 교육부는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를 열고 서인천대학교 설립 인가를 부결했다. 교육부는 교육 여건 미흡과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분진학원은 이 결정을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재심의를 요청한 상태다.

분진학원은 기독교적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자 최후연 이사장과 그의 아내이자 초대 이사장인 원재희 서인천대학교 설립준비위원장의 헌신으로 세워졌다. 경기도 김포시의 분진중학교와 지난 2월 자진 폐교한 강원도 태백시 강원관광대 등이 분진학원 소속이다. 서인천대는 1998년에 조건부로 대학 설립 인가를 받은 후 교지, 교사, 교원, 수익용 재산 등 4대 조건을 지켰지만, 7차례나 인가 신청이 좌절됐다.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쓰인 시설 관리 비용도 적지 않다.

원 위원장은 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서인천대학교 설립을 위해 1000억 원 넘는 사재를 투입했다”고 주장했다. 학교 설립 용지에는 이미 2개 동의 건물과 운동장이 마련된 상태다. 지난 4월에는 캠퍼스 출입구 쪽에 있는 LH 땅도 약 20억원을 들여 샀다. 이 역시 교육부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원 위원장은 “교육부가 하라는 대로 다 했는데, 최종 불허가 난 것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서인천대 부지 내에 조성된 채플실. 분진학원 제공

원 위원장은 서인천대학교 설립에 남은 인생을 바치고 싶다고 밝혔다. 인천 서구의 검단 신도시는 70만 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며, 이에 따라 교육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원 위원장은 주장했다. 교육부가 학령인구 감소를 불허의 이유로 제시한 것과는 대치되는 대목이다. 그는 “인천 자체에도 300만 인구가 있지만, 전문대는 2개뿐이다. 이 지역에 신앙교육을 목표로 한 대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앙인으로서 소송을 피하고 싶었지만, 이번에는 물러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인천대학교는 노인복지학과 아동복지학과 영양복지학과 복지경영학과 등 4개의 학과를 설립해 생애 주기별 맞춤 복지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엇보다 기독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인성 교육을 실천하겠다는 각오다. 원 위원장은 “학생들이 대학을 다니면서 복지 자격증을 획득하고, 실습 중심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교육부의 결정은 법에 맞지 않는 행정이자 직권남용과 업무방해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서인천대학교의 설립을 위해 교육부가 공정한 결정을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손동준 기자 sd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