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9월 금리 인하 논의 가능” 공식 언급…민주당 호재

입력 2024-08-01 05:06 수정 2024-08-01 05:25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제롬 파월 의장이 오는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공식 시사했다. 현재 수준의 인플레이션 하락과 고용 수준 유지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2022년 3월부터 시작된 강력한 긴축 정책 사이클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건 처음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롯한 공화당 인사들은 대선 전 금리 인하를 선거 개입이라고 압박했지만, 시장은 연준 발표를 환호했다. 연준의 다음 회의는 미국 대선 7주 전이어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또 다른 모멘텀 기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연준은 31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5.25∼5.50%)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부터 이번까지 8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하며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의 금리는 1년 넘게 유지하게 됐다.

파월 의장은 그러나 기자회견에서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위험은 계속 더 나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며 “2분기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연 2% 물가상승) 목표를 향하고 있다는 확신을 더해 줬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특히 ‘인플레이션이 9월까지 예상대로 움직이면 금리를 낮추는 것을 기본 시나리오로 간주하겠느냐’는 질문에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둔화하거나 고용시장 상황이 현 수준에서 유지된다면 금리 인하가 9월 회의 때 테이블 위에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왜 오늘 금리를 내리지 않았느냐’라는 질문에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게 적절한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게 위원회의 대체적인 인식이지만 아직은 그 시점에 이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도 최근 인플레이션을 ‘소폭 상승’이라고 표현했고, 이중 임무(낮은 인플레이션과 견고한 고용시장 유지)를 강조하며 실업률 상승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준이 고금리를 지속한 이후 마침내 금리 인하를 논의할 시점이 됐다는 인정한 강력한 신호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평가했다.

연준의 다음 FOMC 회의는 9월 17, 18일 열린다. 파월 의장은 논의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로이터는 “연준이 대선 직전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연준은)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는 걸 알지만, 어쩌면 (대선날인) 11월 5일 전에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다”며 연준이 선거에 개입하려고 금리 인하를 서두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파월 의장은 “우리는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 어떤 정치적 결과를 지지하거나 반대하기 위해 우리 정책 수단을 절대로 쓰지 않는다”며 “선거 전이든 후든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데이터와 전망에 기반을 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준의 금리 결정이 정치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도 그간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실업률을 높이고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조속한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다. 조 바이든 대통령 경제고문인 바랏 마라무르티 전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최근 “연준이 7월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다면 9월에 금리를 0.5% 포인트 낮춰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파월 의장은 “(0.5% 포인트 인하는) 지금 당장 고려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연준 발표 이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0.2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1.58%), 나스닥 지수(2.64%) 등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강세로 마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