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장관 후보에 김문수 경사노위 위원장… 金 “노동약자 보호 필요”

입력 2024-07-31 10:53 수정 2024-07-31 10:56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31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 입장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31일 신임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김문수(73)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을 지명했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정무직 인선을 발표했다. 정 실장은 김 후보자에 대해 “경사노위 위원장으로서 지속 가능한 경제 사회를 위한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 협의를 이끌었다”며 “고용노동계의 현안이 산적한 시점에 노동현장과 입법부, 행정부, 지방자치단체를 두루 경험해 노동개혁을 완수할 적임자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노동운동가 출신인 김 후보자는 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낸 3선 의원이다. 두 차례 경기도지사를 역임했다.

김 후보자는 정 실장의 발표 직후 “한국노총을 비롯한 노동계와 경총을 비롯한 사용자 단체, 국회와 노동 관련 학계, 언론계의 말씀을 늘 경청하겠다”며 “더 낮은 곳, 더 어려운 분들을 더 자주 찾아뵙고, 현장의 생생한 말씀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자는 “노동개혁의 또 다른 과제인 노동 약자 보호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라며 “5인 미만 사업장이나 영세 중소기업 비조직 노동자들도 결혼해서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소박한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적극 도와드려야 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기자들과 만나 야당이 곧 처리를 예고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에 대해 “학계 등이 상당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세계적으로도 이러한 입법 사례는 없다”고 언급했다. 김 후보자는 다만 “약자에 대한 보호, 하청업체 노동자에 대한 보호는 필요하고, 노동 투쟁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가 너무 과도해서 노조나 개인을 파산시키는 일들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이런 점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