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교육청은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2차 공모에 도전한 결과 1유형 1건(남해), 3유형 1건(의령, 창녕, 함양, 거창) 등 2건이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는 교육청과 지자체, 관계 기관이 협력해 지역 특색에 맞는 교육 모델을 개발해 지역 인재가 지역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행복하게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지역 살리기 정책을 말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특별교부금(3년간 해마다 유형에 따라 30억(1유형)에서 120억(3유형) 이내 교부) 재정 지원과 지역 특성에 맞는 특례 혜택이 주어진다.
도 교육청은 이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2차 공모 준비를 위해 희망 지역의 시·군과 지속 협의했고 공동 작성한 기획안을 지난달 28일 교육부에 제출, 지난 15일 열린 심사에 교육청과 경남도, 시·군이 함께해 교육발전특구 운영 의지와 세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앞서 교육부는 2월 말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공모를 완료했고, 경남은 3유형 1건(진주, 사천, 고성, 창원, 김해, 양산, 거제, 밀양 등 8개 지역)이 선정 됐다.
경남교육청은 이번 2차 공모 결과 5개 지역이 추가로 선정돼 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13개 시·군과 함께 지역 특색에 맞는 과제를 수행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1유형으로 선정된 남해군은 사교육 부담 없는 양질의 돌봄 제공을 위해 ‘보물섬 늘봄’을 구축한다. 또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을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 자연 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 , 학교와 대학을 연계한 관광-수산업 교육 강화, 협약형 특성화고 중심의 해양산업 분야 인재 육성, 공공체육클럽 연계 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 지역 특색에 맞는 교육 과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4개 군(의령, 창녕, 함양, 거창)이 함께한 3유형 주요 과제로는 지역 특화 공교육 혁신 지원과 로컬유학 교육마을 조성, 인접 지역을 연합한 2+2 중심의 공동 교육과정, 1차 시범지역 연계 강화 등 ‘로컬유학 특화 과제’로 인구 유입에서 정주까지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올해부터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 작은 학교 지원을 위해 의령에 시범 실시한 경남교육청 공유교육이 교육부가 주관한 ‘교육 분야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만큼 다른 지역과 함께 교육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게 됐다.
이 외 공유교육을 포함한 3유형 우수 공교육 모델이 심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차 공모를 신청한 광역자치단체 중 전국 유일하게 선도지역(우수과제를 포함 3년 시범운영 후 종합평가를 거쳐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관리)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얻었다.
이는 지난 1차 공모에서 경남의 3유형이 선도지역으로 지정된데 이어 2회 연속 지정으로 경남 교육발전특구 모델이 전국적인 선도모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 “도내 18개 시·군 중 13개 지역이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된 만큼 우수한 교육 과제를 도내 모든 지역으로 확산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경남교육이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