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이 김주애를 현 시점에서 유력한 후계자로 암시하며 후계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29일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밝혔다.
이날 국정원은 “북한이 어린 김주애에 대한 주민 반응을 의식해서 선전 수위와 대외 노출 빈도를 조정하고 있다”며 “후계 구도와 관련해서 김주애를 어떻게 북한이 가르치고 어떤 활동에 김주애가 나타났냐는 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몸무게가 140㎏으로 추정된다며 심장질환 고위험군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정은의 체질량 지수가 정상 기준인 25를 크게 초과한 40 중반에 달한다”며 “스트레스와 담배, 술 등으로 인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 건강상태를 개선하지 않을 경우 가족력인 심혈관계통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을 면밀 추적 중”이라며 “기존 쓰던 약제가 아닌 다른 약제를 찾는 동향을 포착했다”고 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 10차례에 걸쳐 약 3600개의 오물풍선을 살포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북한은 오물풍선을 다중 밀집 구역에 집중적으로 투하하거나 위험 물질로 가장한 백색 가루를 쓰는 등 운용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고 확성기 등 다른 도발수단도 병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북한의 미사일에 대해서는 “북한은 14회에 걸쳐 48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지난 5월 27일 발사 중 공중 폭발된 정찰위성, 만리경 1-1호를 탑재한 우주 발사체는 신형엔진을 사전개발한 징후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액체 산소와 헤로신을 최초로 사용한 걸로 볼 때 러시아로부터 지원받은 엔진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