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10명 중 6명은 처방약 부작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손현순 차의과대학교 약대 교수 연구팀은 최근 한국임상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세 이상 189명을 대상으로 약사의 처방약 관련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는지 등을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했다.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신분으로 최근 1년간 병원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처방약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이들이 대상이었다.
응답자의 59.7%는 ‘약사의 처방 조제약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응답 비율은 40.2%였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 가운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도 19%였다.
또 응답자 98.9%는 약사가 처방 조제약의 부작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약사의 부작용 정보 제공 방식에 대한 선호도 질문에는 ‘말로 설명하는 방식’(28%)이나 안내문 출력 등 서면 방식(6.9%)보다 ‘말과 서면 두 방식 병용’을 선호한다는 응답(65.1%)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이번 설문 결과에 대해 “약사의 부작용 설명 수준이 국민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약사가 부작용 안내에 대한 환자 측 기대를 반영하고 약물 관련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복약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난독 문제를 겪거나 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더 세심한 복약 지도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금 우리 국민에게 익숙한 복약지도서는 처방 조제약 봉투 한 면에 약 이름과 성분, 적응증 등 기본 정보를 인쇄하는 방식”이라며 “정보량이 많아지면 글씨가 작아져 노인 환자 등에게 난독 문제가 수반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서면 복약지도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