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기차 급속충전기의 충전율을 80%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일부 얌체 운전자가 급속충전기를 주차장처럼 이용하는 것을 막고 배터리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28일 서울시는 “9월 시가 소유한 100㎾ 이상 급속충전기부터 80% 충전 제한을 시범적용한다”며 “연말까지 시내 급속충전기 400여기(민간 보유 포함)에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는 전기차 동호회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이 같은 정책을 적용키로 했다. 충전율이 80%를 넘어가면 충전을 강제 종료하는 등 제재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받아들였다.
특히 일부 얌체 운전자가 급속충전기를 주차장처럼 이용하며 장시간 독점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이뤄졌다.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급속충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율을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터리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최대 충전율을 80%로 설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통상 배터리는 충전량 80%를 넘기면 리튬이온 반응이 줄어 충전 속도가 느려진다. 이런 상황에서 계속해서 전류를 공급해 100% 완충 상태를 유지하면 과충전으로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시는 기술적 검토를 거쳐 자체 보유한 급속충전기에 대해 충전기 제조사와 함께 펌웨어 업데이트에 착수했다.
우선 9월부터는 시 소유 급속충전기에 80% 충전 제한을 도입한다. 12월부터는 자치구에서 서울에너지공사에 위탁한 급속충전기에도 도입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급속충전기에도 충전 제한 도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열화(劣化)와 화재 발생 우려로 급속충전기 설치나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며 “충전율 80% 시점에 충전을 끝내 시민 편의를 향상하고 전기차 화재 예방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