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 모기 발견…바이러스 미검출

입력 2024-07-26 16:17
작은빨간집모기. 질병관리청 제공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처음으로 강화군(선원면 금월리·삼산면 석모리)과 중구(오성산)에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됐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인천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확인된 시기는 7월 3주차(7월 15∼21일)로 지난해 8월 1주차(7월 31일∼8월 6일)보다 2주가량 이른 시기다.

채집된 모기의 병원체 보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는 등 감염병 전파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전라남도 완도군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확인됨에 따라 3월 30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으며, 지난 25일에는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일대에서 경보 발령기준 이상 채집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을 살펴보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2021년 23명, 2022년 11명, 2023년 17명으로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고, 인천에서는 지난해 1명의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됐다. 올해는 현재까지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일본뇌염은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되고 11월까지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 증상을 보인다. 이 중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현재 일본뇌염 매개 모기를 포함해 인천 지역 모기 발생 밀도를 감시하는 모기밀도조사와 실시간 모기발생모니터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 공항을 중심으로 해외유입 모기를 감시하는 공항 주변 해외 유입 모기감시 사업을 시행 중이다.

권문주 인천보건환경연구원장은 “매년 지역 내 모기 발생과 병원체 보유 조사로 일본뇌염, 말라리아 등 매개체 감염병을 지속해서 감시하고 있다”며 “다만 모기매개 감염병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예방수칙 준수를 거듭 강조한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