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어린 자녀에게 수백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명품을 사주는 한국의 세태를 외신이 집중 조명했다.
2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인 한국이 점점 더 부유해지면서 적은 수의 자식을 위한 사치품에 돈을 쓰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급격히 성장 중인 한국의 아동 럭셔리 시장 상황을 소개했다.
매체는 경기도 화성 동탄에 거주하는 38세 여성 김씨의 일화를 들었다. 김씨는 “4세 딸을 위해 78만원짜리 티파니 은목걸이를 사고, 18개월 된 딸을 위해 38만원짜리 골든구스 신발을 샀다”며 “결혼식, 생일 파티, 음악 콘서트에 나갈 때 초라해 보이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아이들을 위해 몽클레르 재킷·셔츠, 버버리 원피스·바지, 펜디 신발 등도 구매했다고 한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사업가 엄씨는 17세 딸이 사치품에 집착하는 것을 걱정한다. 그는 딸이 어렸을 때부터 조부모로부터 비싼 물건을 선물 받았다면서 “아이가 사치품에 익숙해져서 나중에 이런 사치스러운 소비를 감당할 만큼의 직장을 구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전했다. 그의 딸은 최근 생일 선물로 마크 제이콥스와 협업한 아식스의 80만원짜리 스니커즈를 조부모에게 받았다고 한다.
유로모니터의 뷰티·패션 컨설턴트 리사 홍씨는 “한국의 출산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어린이를 위한 명품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며 “한국인들은 과시하기를 좋아한다. 자녀가 한 명뿐인 가정이 많기 때문에 최고급 품목을 선택해 첫 명품 소비 연령을 낮추고 있다”고 매체에 말했다.
한국 아동용 명품 시장은 1인당 지출 기준 세계에서 세 번째로 성장 속도가 빨랐으며, 유로모니터 기준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5%가 넘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여러 명품 브랜드들이 BTS, 블랙핑크 등 K팝 스타들을 앰버서더로 영입해 20~30대를 공략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홍씨는 “K팝 아이돌이 등장하는 광고가 사치품에 대한 갈망을 불러일으키며 젊은 소비자들에게 각인된다”며 “SNS에서 명품 쇼핑을 자랑하는 인플루언서들도 이런 추세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국내 백화점 아동용 명품 성장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에 따르면 롯데, 신세계, 현대는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2023년 아동용 명품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현대, 신세계의 아동용 고급 브랜드 매출은 지난해 대비 각각 27%, 15% 증가했고 롯데는 부가부 유모차와 스토케 유아용 하이체어 등 프리미엄 제품 매출이 25% 늘었다.
모건스탠리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프라다, 몽클레르, 보테가 베네타, 버버리 등 최고급 브랜드의 글로벌 매출에서 한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였다. 한 명품업체의 한국지사 대표는 “한국 사회는 경쟁이 치열하고, 사람들은 눈에 띄고 싶어 한다. 명품은 이들을 위한 좋은 도구가 됐다”며 “몽클레르 겨울 패딩은 10대 청소년의 교복이 됐다”고 매체에 말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