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프와 티몬 정산 지연 사태로 수많은 중소 판매자(셀러)의 자금 경색 위험이 커지고 있다. 다수 판매자들의 이탈 시 쿠팡을 비롯한 대형 채널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게 되면 향후 쿠팡이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독점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 이커머스 플랫폼에 입점한 6만곳 가운데 상당수는 중소 판매자로, 대부분 자금 사정이 열악해 판매대금 정산이 제때 이뤄져야 사업을 이어갈 수 있다. 그러나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이 지연되면서 영세 판매자를 중심으로 심각한 자금난에 봉착했다.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주기는 최대 두 달이다. 이달 정산받지 못한 대금은 5월 판매분으로, 6~7월 판매대금 정산도 불확실해 중소 판매자의 자금난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판매자에 따라 이달에만 최소 2000만원에서 많게는 70억원까지 물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티메프 사태’는 매달 돌아오는 판매자들의 대금을 다음달 매출로 갚아나가는 ‘돌려막기식 운영’에 차질이 생긴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티몬과 위메프에서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는 입점 업체들의 사연이 늘고 있다. 한 판매자는 “7월 미정산이라 오늘 티몬·위메프 주문 건 전체 취소 및 판매종료 처리했다. (미정산금이) 1억정도”라고 했다. 또 다른 판매자는 “큐텐과 위메프에서는 중지·품절 처리했다. 인터파크도 큐텐이 인수했던데 인터파크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하는 중소 판매자들이 줄도산하면 파장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크다. 현재 주요 은행들이 전날부터 두 플랫폼 판매자에 대한 선정산 대출을 중단해 자금줄이 막힌 상황이다. 전자지급결제대행(PG) 업계는 최근 티몬·위메프와의 거래를 일시 중단했다.
이번 사태는 티몬, 위메프에만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현재 신세계그룹(G마켓·SSG닷컴)과 11번가, 롯데온 등 국내 중하위권 이커머스는 적자 경영을 지속 중이다. 11번가는 비용 절감과 인력 효율을 위해 지난해부터 2번의 희망퇴직을 진행했고, 서울역에 있던 본사 역시 광명으로 이전했다. 신세계그룹은 실적 부진으로 이커머스 계열사인 G마켓과 SSG닷컴 수장을 한꺼번에 교체하기도 했다.
이에 판매자나 제조사가 울며 겨자 먹기로 대형 채널에 의존하게 되면 쿠팡 독주체제에 알리와 테무가 추격하는 모양새가 될 거라는 전망이 굳어진다. 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종합몰앱 순위는 1위 쿠팡(3129만명), 2위 알리익스프레스(837만명), 3위 테무(823만명), 4위 11번가(712만명), 5위 G마켓(497만명) 순. 티몬은 437만명으로 6위, 위메프는 432만명으로 7위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이커머스 시장은 로켓배송 등 배송 경쟁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쿠팡과 가격 경쟁력이 강점인 C커머스의 경쟁으로 좁혀질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