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MBC 보도본부장 재직 당시 고위 임원과 특수관계에 있는 업체에 점수를 몰아줘 채용 관련 용역계약을 따내게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해당 업체는 MBC 측이 사전에 성향 등을 파악해 만든 추천 명단을 토대로 전반적 채용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MBC는 이 후보자가 보도본부장이던 기간에 헤드헌팅 업체 P사와 계약을 맺고 세 차례에 거쳐 경력직 기자 12명을 뽑았다. 당시 권재홍 MBC 부사장의 동서가 P사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었다고 한다.
의원실에 따르면 1차 채용 당시 MBC 보도국은 감사국의 문제제기에도 P사와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2차 채용을 앞두고는 4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는데, 여기서도 재차 P사가 계약을 따냈다.
이 의원은 이 후보자가 용역업체 선정 과정에 직접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특수관계 당사자인 권 부사장, 임진택 감사와 함께 업체 면접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사전평가에서 꼴찌를 기록했던 P사에 최고점을 줬다는 것이다. 거꾸로 1위 업체엔 최하점을 부여한 것으로도 파악됐다.
P사는 1~3차 경력직 기자 채용을 모두 맡고 수수료로 2억1000만원 넘는 금액을 수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P사가 요구한 수수료는 다른 3개 업체의 1.6배에 달하는 규모로 알려졌다. 이 후보자 측은 의원실에 “(해당 업체가 권 전 부사장과) 특수관계인지 몰랐다”고 해명했다.
MBC 보도국은 또 P사에 지원자들의 성향과 충성도 등을 파악해 작성한 인사 명단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30여명이 명단에 올랐는데, 최종 합격자 12명 중 10명(83%)이 해당 명단에서 나왔다.
이 후보자는 임원 면접에 면접관으로 직접 참여해 세월호 참사와 천안함 피격 사건 등에 대한 지원자의 생각을 질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실이 입수한 당시 보도국 소속 면접관의 메모에 따르면 ‘이념적으로 명확하지 않다’거나 ‘성향이 뚜렷하다’는 이유로 각각 낮은 점수, 높은 점수를 부여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미리 작성된 명단으로 채용한 업체에 왜 2억원 넘게 쓰였느냐”며 “특수관계의 업체에 회사 예산이 무분별하게 쓰인 것은 이 후보자의 업무상 배임 혐의가 다분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정권 방송장악에 일조하기 위해 본인 마음에 드는 기자들을 부정 채용한 천인공노할 행태”라고도 지적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