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24일 완주 군민의 완주·전주 통합건의서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했다.
전북자치도는 김관영 도지사가 이날 우동기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에게 건의서와 도지사 의견서를 전달하고 향후 특례시 지정 등 완주·전주 통합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행정·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우 위원장에게 “이번 주민 서명에 의한 통합 건의는 전국 최초 사례로 행정 통합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선진 모델이 전북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하고 통합이 확정되면 광역시가 없어 겪었던 상대적 차별을 극복해 낼 강하고 단단한 중추도시를 만들 수 있도록 통합시를 특례시로 지정해 줄 것과 직·간접 통합 비용 등 정부의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우 위원장은 “건의서가 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된 만큼 관련 절차를 추진하겠다”며 “완주·전주 통합시의 특례시 지정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특례시 인구기준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차등 적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 도는 전했다. 또 우 위원장은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시‧군간 통합은 정부의 중요한 과제로 완주·전주 통합에 따른 직간접 비용이 대폭 지원될 수 있도록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이날 익산시 수해 현장을 찾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완주·전주 통합은 지역 생활권 불일치를 해소하고 통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굉장히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돼 정부는 행정·재정적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 장관은 이어 “특례시 기준이 인구 100만 이상인데 기존 기준이나 요건들에 대한 수정 사항이 없는지 연구용역 중이고 ‘미래지향적 행정체제개편자문위원회’에서도 이를 검토 중”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군 통합 핵심 부처인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완주·전주 통합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힘에 따라 통합시의 특례시 지정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난 22일 김 지사는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완주 통합시를 특례시로 지정하여 더 많은 자율성과 다양한 발전 기회를 제공, 광역시에 버금가는 전북의 중추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전주·완주 통합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는 지방시대위원회와 행정안전부의 통합 방안 마련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 3∼5월중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