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활발해지면서 최근 과열 우려가 나오지만, 건설업계에는 여전히 찬바람이 불고 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는 데다, 공사비·인건비 급등과 고금리 지속으로 올해 2분기 실적도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지난 1개월 증권사 실적 전망치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의 2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보다 급감했다.
대우건설의 2분기 연결기준(해당 기업의 종속기업 재무까지 포함) 영업이익은 12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매출액은 2조6556억원으로 18.8%, 당기순이익은 884억원으로 56.7% 감소할 전망이다. 즉 순익은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셈이다.
삼성E&A의 영업이익 예상치도 41.6% 감소한 2010억원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2조5455억원으로 8.6% 줄고, 당기순이익은 1451억원으로 42.3%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19일 건설사 중 가장 먼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현대건설의 영업이익은 147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4.1% 감소했다. 매출은 8조6212억원으로 20.4%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1461억원으로 31.2% 줄었다.
GS건설은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예상됐지만, 이는 지난해 4월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에 따른 것이다. GS건설은 당시 사고가 발생한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전면 재시공을 결정하고 결산손실 5500억원을 일시에 반영했고, 이 때문에 지난해 2분기에 413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실적 부진 배경으로는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급등,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분양 물량 감소 등이 있다.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각종 비용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인 건설공사비지수는 2020년말 이후 3년간 26% 올랐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여전히 부동산 시장이 얼어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집값은 0.39% 올랐지만, 전국 기준으로는 0.44% 떨어졌다. 특히 지방은 –0.62%를 기록했고,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는 –1.12%로 하락 폭이 더 컸다.
아파트값은 더 격차가 크다. 서울은 올해 상반기 0.55% 올랐지만, 지방은 0.98% 하락했다. 5대 광역시는 1.41%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수주도 녹록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당시 해외에서 많이 철수한 데다, 중국 등 경쟁국들의 기술력이 올라와 일부 메이저 회사를 제외하면 경쟁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