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산업 전반 협력…대전시·특허청 IP로 지역 성장시킨다

입력 2024-07-22 15:34
김완기 특허청장과 이장우(오른쪽) 대전시장. 대전시 제공

대전시와 특허청이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대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 기관은 2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역의 지식재산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특허출원 세계 4위의 지식재산기관인 특허청, ‘일류경제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시가 교육·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산업정책 분야의 세부 사업으로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략산업 정책 수립’을 추진한다. 특허청이 나노반도체·바이오헬스 등 대전의 전략산업 분야와 관련된 국내·외 특허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제공하면 시는 이를 바탕으로 각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지역 청소년들의 발명문화 체험기회를 넓히기 위해 매년 수도권에서 개최하던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개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금융·투자 분야에서는 IP펀드 공동조성 및 IP금융 활성화, IP기반 중소기업 투자유치 역량 강화 지원 등의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시가 조성하는 기술기업지원 펀드에 IP가치평가 요건’을 포함해 지식재산 역량이 강한 혁신기업을 육성하고, ‘지역혁신 IP펀드(가칭)’를 새롭게 만들기 위해 공동출자에도 힘을 모은다.

양 기관은 이밖에 기업·시민의 지식재산 역량 강화교육, 특허기반연구개발(IP-R&D) 전략 수립 지원 등에도 협력한다. 각 사업은 향후 실무협의회를 통해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교육·산업 전반에 걸쳐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 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무엇보다 지식재산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대전의 기업과 시민들이 지식재산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은 뛰어난 R&D 역량을 바탕으로 첨단기술분야 중심의 산업 구조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특허청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식재산 기반의 글로벌 혁신도시로서의 성장을 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