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노랑부리백로가 울산에서 발견됐다고 16일 밝혔다.
‘울산 새(鳥) 통신원’인 조현표 씨가 서생 해안가를 찾았다가 노랑부리백로를 발견해 함께 사진을 찍고 네이처링 앱을 통해 기록했다.
그동안 울산에서 노랑부리백로를 관찰했다는 조사보고서 등 관찰기록은 있었으나, 사진이나 영상으로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랑부리백로는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상 취약종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국내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이다. 몸길이 68cm 정도에 몸 전체가 흰색이며, 부리는 진한 노란색을 띈다. 여름에 20가닥 정도 장식 깃이 뒷머리에 자란다. 갯벌에서 작은 물고기나 새우를 먹는다.
전 세계에서 2500~1만 마리 정도밖에 없으며, 국내에는 1000여 개체가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자연보전명맹(IUCN) 적색목록상 취약종에 올라 있으며, 국내에서도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새 관찰 모임인 ‘짹짹휴게소’ 홍승민 대표는 “이번 노랑부리 백로 관찰로 울산 서생 및 온산 해안과 배후 습지들이 여름철새와 나그네새의 이동경로에 중요한 지점임이 확인됐다”며 “현재의 해안 갯바위나 인근 논, 하천들을 철새들이 머물다 갈 수 있도록 보전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 새 통신원은 지난달 12일부터 울산지역 새들을 일상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시민 30명으로 발족해 활동하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