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는 사람과 대화 가능한 인공지능(AI) 전화 서비스로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2023년 디지털타운 조성사업’에 선정된 데 따른 구축 서비스의 일부다. 2억50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 실무협의체(행안부·지자체·네이버)가 개발 검증하고 있는 모델을 시범 적용한다.
시는 네이버 케어콜 AI 기술을 위기가구에 대한 초기 유선 상담 분야에 활용해 대상자를 분류한다. 대상자는 해당 지역 공무원이 추가 상담을 진행해 복지서비스 연계를 지원한다.
이달까지 안강읍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뒤 다음 달부터는 전체 23곳 읍면동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또 AI 안부 전화 서비스도 이달부터 실시한다. 주거 취약, 독거 장·노년, 치매가구 등 복지사각지대 주민이 대상이다.
이 서비스는 네이버 AI 하이퍼클로바를 기반으로 AI가 돌봄 대상자와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건강 상태, 식사 여부 등을 주 1~2회 확인한다.
신청은 해당 주소지 행정복지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위기가구를 신속히 발굴하고 지원해 더욱 섬세하고 질 높은 복지서비스를 위해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