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급이 한국에 부여된 국제적 규제 기준인 ‘선박 탄소집약도 지수’(CII)의 오류를 잡아냈다. 지수 등급 산정 과정에서 발생한 계산식 오류를 바로잡아 내면서 글로벌 해운시장에서 우리나라 선박들이 받을 수 있는 피해를 막아 내게 됐다.
한국선급은 지난해부터 시행에 들어간 선박 운항 탄소집약도 지수의 계산식 오류 사항을 발견한 데 이어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계산식 개정안을 최종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선박 운항 탄소집약도는 국제 항해에 나서는 5000t 이상 선박에 등급을 부여하는 국제 환경 규제다. 선박 용량과 운항 거리,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을 기반으로 탄소 발생 집약도를 계산해 A(높은 등급)에서 E(낮은 등급)까지의 등급을 선박에 부여한다.
한국선급은 이 계산 과정에서 대형 산적화물 운반선(27만 9000 DWT 이상)과 차량운반선(5만 7700 GT 이상) 등이 실제 선박 용량이 아닌 고정값을 적용한 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른 오류에 영향을 받는 선박은 국적선 101척 중 76척에 달했다.
낮은 등급의 탄소집약도 지수 등급을 받게 되면 중고선 거래량 감소와 잔존 가치 하락, 친환경 설비 설치 또는 감속 운전에 따른 수익성 감소, 특정 항만에서의 인센티브 배제 등 경제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실제 팬오션, 폴라리스쉬핑, 에이치라인해운(H-LINE), 시도상선, 현대글로비스, 유코카캐리어 등 국내 유수 해운선사의 소유 선박이 C등급임에도 E등급을 받는 등 불이익을 받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해당 선박은 실제 CII 등급보다 낮은 등급을 부여받음으로써 온실가스 저감 분야 경쟁력 확보에 큰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국제해사기구는 탄소집약도 지수 등급 제도를 포함한 관련 규제의 개정 작업을 2026년 1월 1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이번 계산식 오류 정정으로 국적 선박들이 정확한 CII 등급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